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곤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<br>Q1. 김 기자, 어젯밤 북한이 네 번째 풍선 살포를 감행하고 담화문을 냈죠. 여기서 '새로운 대응'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는데, 새로운 대응이란 게 도대체 뭔가요? <br><br>A1. 지금으로선 공격인 듯 아닌 듯 모호한 '회색지대 도발'의 방식을 새롭게 마련할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합니다. <br><br>가장 유력한 것은 대남 심리전, 그중에서도 '대남확성기 재개'입니다. <br> <br>현재 북한은 일부 지역에서 대남확성기 설치를 완료한 것으로 파악됐는데요,<br><br>이미 우리 군이 어제 대북 방송을 시작하기 전부터 북한은 설치를 끝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대남 전단 살포도 거론됩니다.<br> <br>우리 탈북민 단체들처럼 북한도 민간으로 위장한 단체를 만들어 선전물을 살포할 수 있다는 건데요,<br><br>김여정 노동당 부부장도 어제 새로운 대응을 경고하면서 "쉴새 없이 휴지를 주워담아야 하는 곤혹은 일상이 될 것"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><br>공격 원점 식별이 어려운 목함지뢰 도발과 같은 카드 역시 배제할 수 없다는 게 군 안팎에서 나오는 설명입니다.<br> <br>만약 강대 강 대치 상황이 계속될 경우 우리 영토와 영해에 대한 직접 타격도 가능해질 수 있는데요, <br> <br>오늘은 진행되지 않은 대북 확성기 방송이 앞으로 이어진다면 2015년과 같이 우리 대북 확성기를 향한 포 사격 도발 가능성도 제기 됩니다. <br> <br>또는 북한이 서해에 자의적인 국경선을 선포해 우리 선박의 운항을 꼬투리 잡은 다음에 서해 상으로 포격 도발을 감행하는 것 역시 강대 강 대치 상황에서 가능한 도발 시나리오로 꼽힙니다.<br><br>Q2. 이런 상황에 대통령실 인근까지 오물 풍선이 날아왔다고요? <br> <br>A2. 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어젯밤 북한의 오물풍선이 대통령 집무실 인근 600m 지점까지 날아온 것으로 확인됐는데요, <br><br>현재 대통령 관저와 집무실 주변 3.7㎞ 이내는 '비행금지구역'으로 지정돼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대통령실 코앞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뿐 아니라 이태원역 등 총 세 곳에 풍선이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2022년에도 북한의 정찰용 무인기가 이 비행금지구역으로 진입해 논란이 됐는데요,<br> <br>이번에도 대통령 경호를 위해 방공 필요성이 있는 구역까지도 북한의 풍선이 무분별하게 날아든 겁니다. <br><br>Q2-2. 그렇다면 우리 군 대응이 잘못된 건가요? <br><br>A2-2. 우리 군 대응 지침에는 풍선의 경우 격추가 아닌 관찰과 추적을 면밀하게 하도록 돼 있습니다. <br> <br>요격할 경우 시민들에게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 것인데요,<br><br>합동참모본부도 오늘 "용산지역으로 이동하는 풍선 역시 실시간으로 추적ㆍ감시하고 있었다"면서 떨어진 뒤 회수하는 기존 매뉴얼을 따랐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> <br>또 생화학 공격에 필요한 장비가 동원되는 징후도 식별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Q3. 결국 북한이 새로운 대응을 경고하고, 오물풍선까지 계속 내려보낸 건데, 이를 강 대 강 대치 국면으로 봐야 하는 겁니까? <br><br>A3. 일단 지금으로선 남북 모두 숨을 고르고 있다는 해석이 우세합니다. <br><br>김여정 부부장은 이번 담화문에서 '전단 살포'와 '확성기 방송 도발'의 병행을 새로운 대응의 조건으로 꼽았습니다. <br> <br>둘 중 하나라도 하지 않기를 바라는 의도로 읽히는데요, <br> <br>지난 2일 북한은 '전단 살포'만을 조건으로 꼽았는데, 새로운 조건을 하나 더 추가해 대응 수위를 쉽게 높이지 않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또 그동안 사용하던 '한국 괴뢰'라는 표현에서 '괴뢰'란 단어를 빼는 등 비난 수위를 낮췄다는 해석도 나옵니다.<br><br>우리 군도 오늘은 대북 확성기를 재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다만 앞으로도 탈북단체들이 계속 전단을 공개적으로 살포하며 대북 압박에 나선다면, 북한도 다시 강경 대응 기조로 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>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